250x250
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종식당
[매일메일 2025-02-04] JPA의 ddl-auto 옵션은 각각 어떤 동작을 하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 할까요? 본문
728x90
반응형
📚 ddl-auto
ddl-auto 옵션은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서 Hibernate와 같은 JPA구현체를 사용할 때 데이터베시스 스키마 관리를 제어하는 설정이다. 이 옵션은 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yml파일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값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해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ddl-auto 옵션에는 none, validate, update, create, create-drop등이 존재한다.
🕵️ 각 옵션에 대한 설명
none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관련된 어떤한 작업도 수행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수동으로 관리하고 싶을 때 유용할며, 프로덕션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
validate |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엔티티 매핑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일치하는 지 검증하며 스키마 변경은 따로 수행하지 않는다. 프로덕션 환경에서 엔티티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일치하는 지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
update | 엔티티 매핑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비교하여 필요한 경우 스키마를 업데이트한다. 기존 데이터는 유지되지만, 새로운 엔티티와 변경된 엔티티 필드는 스키마에 반영이 된다. 해당 옵션은 엔티티에 변경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스키마를 업데이트 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예기치 않은 스키마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하다. |
create |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기존 스키마를 삭제하고 새로 생성한다.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며 엔티티 매핑을 기반으로 새로운 스키마가 생성된다. 개발 초기에는 빈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반복적으로 생성해야 할 때 유용하다. 기존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므로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create-drop | create와 유사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이 종룔될 때 스키마를 삭제한다는 점이 다르다. 해당 옵션은 테스트 환경에서 일시적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필요한 경우 유용하며, 매 테스트 실핼 시마다 깨끗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프로덕션 환경에서 스키마 변경은 어떻게 하나요?
스키마 변경이 필요할 때는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도구(Flyway, Liquibase)를 사용하여 제어된 방식으로 스키마를 관리하거나, 사용자가 없는 새벽에 스키마 변경 작업을 수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다.
728x90
반응형
'매일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메일 2025-02-06] JPA의 N + 1 문제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 | 2025.02.11 |
---|---|
[매일메일 2025-02-10] 일급 컬렉션이 무엇인가요? (0) | 2025.02.10 |
[매일메일 2025-02-05] 엔티티 매니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 | 2025.02.09 |
[매일메일 2025-02-07] 자바에서 Checked Exception과 Unchecked Exception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 | 2025.02.08 |
[매일메일] 클로저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 | 2025.02.04 |